<‘Affect’의 번역어 문제>
* <이는 스피노자로부터 비롯한 개념이지만, 현행 용법은 들뢰즈의 창조적 변용으로 간주하는 것이 맞다.>
- 정서(情緖, emotion): 개인적이며 정태적인 뉘앙스 때문에 부적절
- 감정(感情, sentiment): 흥분 상태의 부정적 정념과도 혼동될 수 있어 부적절
- 감응(感應, resonance or correspondence): 축자적으로는 부합하지만 동양적 신비의 연상작용 때문에 다소 부적절.(무엇보다 스피노자의 원 개념이 갖는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들을 생략하고 단일화의 위험이 따른다.[이에 대해서는 보충설명])
- 정동(情動, affect): 원래의 단어(affect)가 지닌 역동적 측면을 효과적으로 담아낼 수 있으며, 그것이 내포한 다양한 층위들을 두루 포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적절
** 감응(또는 감통[感通])은 <<주역>>을 위시한 명백히 동양적 사유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의미상 소통에 기반한 ‘공명’(resonance)에 보다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것은 인간과 인간(자연)만이 아닌 자연 간의 교감까지를 포함한, 즉 인간주의를 넘어선 것이다.
*** 용어의 개념적 정확성·엄밀성과 함께 그 의미의 개방적 포용성, 경험적 현실에 대한 설명능력의 실효성 및 확장 가능성, 번역어를 둘러싼 그간의 진행과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현재 지속가능한 유력한 용어는 ‘감응’과 ‘정동’ 두 가지로 압축됐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