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최초 운동처방(지도) 학자
- 한국 복싱선수의 경기력 향상을위한 개인운동처방
(1984년 대한 유도대학, 대한 아마추어복싱연맹지원)
■ 전공 및 학위논문 ■
▲ 전 공
운동처방, 트레이닝 방법론, 스포츠 영양학.
▲ 학위논문
석사학위논문명 : 건강체력육성을 위한 사회체육교실에서의 운동처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명 : Rat의 산화수사단백과 황산화효소에 대한 일과성운동과 Training의 영향
연구업적 : 총 79편. (논문 51편<국내 29편, 국제22편>, 저서26편, 특허 2편)
■ 국제학술논문 발표 실적 ■
1. 성동진 (2010). An Investigation into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iate Male
Athletes in Case of Distinction According to α-actinin-3 (ACTN3) Gen
Polymorphism : Regarding Swimming, Water Polo, Badminton, Table Tennis,
Wreathing Players <일본체력의학회>
(각종 경기별에 의한 ACTN3 유전자 다형과 신체능력 및 경기능력과의 관련성 연구)
2. 성동진 (2009). An Investigation into Relationship between α-actinin-3 (ACTN3)
Genotypes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 Race of 10,000m Run Combined with
Race Record in Collegiate Long-Distance Runners. <일본체력의학회>
(장거리 런너에 의한 ACTN3 유전자 다형과 혈중젖산 기록과의 관련)
3. 성동진 (2008). Discbike를 이용한 운동이 요통추간판의 손상 및 요통증에 대한 운동의 효과
<일본체력의학회>
4. 성동진외 3명.(2005).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Cardiovascular Inflammation Markers
in Elderiy Korean Men. Journal of the Human-Environmental System
5. 성동진외 5명. (2003). Effect of Chronic Psychological Stress and Irregular Physical Activity
in Bloo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Korean Aged Men. 2003 DAEGU UNIVERSIADE
CONFERENCE
6. 성동진 2003 2.13-2.17 대만체육회 및 국립대만체육대학초청 경기력향상을 위한 운동처방 발표
7. 성동진외 5명. (2002. 9) 당질-전해질 음료 보충이 운동중과 최대운동후 회복기에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02 부산 아시안게임
8. 성동진외 4명 (2001). 유산소운동능력 차이에 따른 최대 운동후 혈중젖산제거에 미치는 영향 .
일본운동생리학회
9. 성동진외 1명 (1999). 한국의 대학우수선수에 의한 운동종목별 신체조성에 관한 연구.
제 50회 일본체육학회 기념 대회집
10. 성동진. (1998). 장기간의 유영트레이닝이 Rat 골격근의 S.O.D활성에 미치는 영향.
제 49회 일본체육학회지
11. 성동진. (1994). Rate의 산화수사단백과 항산화 효소에 대한 일과성 운동과 Training의 영향.
일본 와카야마 의과대학 의학지.
■ 학술대회 및 국내외 학술지 발표논문 ■
1. 성동진외 5명. (2003) 유산소 운동 능력의 차이가 점증최대운동부하 후
피로회복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3, 제14권, 제5호.
2. 성동진외 2명. (1999. 10. 22) 운동이 고령 고혈압증 환자의 강압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운동지도협회.
3. 성동진외 2명. (1998) 운동성 무월경인 여자체조선수의 영양생리학적 요인분석.
운동영양학회지 제2권 2호.
4. 성동진외 1명. (1998.12) 대학유도선수의 체력특성에 따른 요인분석.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5. 성동진외 1명. (1998). Mckenzie 운동요법이 만성경부통 환자의 머리, 어깨, 자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6. 성동진. (1998. 9). 국민건강증진과 운동처방의 현주소. 사단법인)
한국운동지도협회 국제학술대회
7. 성동진. (1998). 장기간의 수영트레이닝이 Ratrhfrurrms 골격근의 SOD활성에 미치는 영향.
일본 제 49회 체육학회 논문집.
8. 성동진외 1인. (1996).교육가능급 정신지체아의 호흡순환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연구소 논문집.
9. 성동진외 1인. (1996). 한국 경륜선수의 운동처방을 위한 체력 평가표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연구소 논문집.
10. 성동진외 1인. (1996).성동진외 1인. 운전자의 건강의식과 운동처방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연구소 논문집.
11. 성동진외 1인. (1996). 스포츠교실에 의한 운동처방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연구소 논문집.
12. 성동진. (1993). 21세기 한국의 생활체육 과제와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3. 성동진. (1993). 사회체육과 욕구충족(운동처방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창간호.
14. 성동진. (1993). 체형질환별 운동처방법 연구개발
15. 성동진. (1993). 신체질환 예방을 위한 Training 방법 개발
16. 성동진. (1993). 한국인의 운동처방 작성을 위한 체력평가 기준표 연구개발
17. 성동진. (1993). 한국인의 운동처방을 위한 운동심박수 목표범위 연구개발(운동처방협회)
18. 성동진. (1993). 순환기기의 최대산소섭취량의 검사 및 평가 연구개발(운동처방협회)
19. 성동진외 1인. 1993년 1월 : 하기 및 동기의 운동시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량과 전해질의 변화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 성동진외 2인. (1991). 한-소 복싱선수의 호흡순환기능에 관한 연구.
대한체육과학대학교 무도연구소.
21. 성동진. (1991). 의장등록 제 121021호 체력측정기 연구개발(특허청장)
22. 성동진외 1인. (1990). 최대운동이 폐기능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연구소 제9권 1호.
23. 성동진외 2인. (1990). 최대운동이 흡연자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24. 성동진외 1인. (1989). Isotonic Training의 opptimal tempo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25. 성동진외 3인. (1988). 한․일 대학 유도선수의 체력의 요인분석. 88서울올림픽 학술논문집.
26. 성동진. (1986). 우수 유도선수의 모의시합중 에너지소비량에 관한 연구.
86 아시안게임 학술논문집.
27. 성동진. (1985). 생리학적입장에서 본 Cross-cuntry Ski 의지적 滑走法.
스포츠과학연구소(대한체육회)
28. 성동진. (1983). 생리학 견지에서 본 테니스교실에 의한 운동강도에 관한 연구.
일본 조선장학회 학술논문집.
29. 성동진외 3명. (1983). 생리학 견지에서 본 스트레칭의 효과. 일본체육학회.
30. 성동진외 6인. (1982). 경기종목별 경기력 향상에 관한 논문. 일본체육협회 스포츠 과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