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은배(2009.12.30). 청소년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과제-통일문화 형성과제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6권 제4호. 257-274쪽.
길은배(2009. 5). 아동·청소년통합정책의 지역운영 방안 모색. 청소년문제행동연구. 제14집. 51-69쪽.
길은배(2009. 2. 28). 사회통일교육의 제도화에 따른 공공-민간 추진기관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21집. 25-47쪽.
길은배(2010. 12. 30).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관련 NGO의 역량 강화 방안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제7권 제4호.
길은배(2010. 9. 30).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남북 청소년 교류 협력 이행 실태 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제7권 제3호
길은배․이미리 외(2012. 6. 30). 청소년 초기 정서의 우울 수준에 따른 차이 -일상적 대인맥락 변화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9권 제2호 외 다수.
길은배(2014. 2). 청소년의 비속어, 은어 사용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언어 일탈, 통과 의례적 문화인가? 한국청소년학회지, 2014년 제21권 제2호.
길은배(2015.12). 공공부문 지원정책에 기초한 탈북청소년의 사회통합 모형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7권 제4호. 217-237.
길은배(2016.2). 청소년 방과후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근로환경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지, 2016년 제23권 제2호. 199-220.
길은배(2016.12). 아동관련법과 정책에 대한 아동학의 역할. 아동학회지, 제37권, 제6호.
길은배(2017.03). 청소년관계법령의 발전 과정과 성과, 그리고 과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4권, 제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