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목(종목); 트레이닝방법론(3)(공통)------------(2019)
0. 지도교수: 윤재량
0. 연구실: 교수연구동 219호 연구실전화번호: 교내 892 (410-6892)
0. 수업지도목표:
- 선수훈련지도 및 운동지도나 운동처방을 위한 과학적인 기초지식을 이해하고 트레이닝을 과학적으로 실시하는데 필요한 트레이닝의 기초, 스포츠생리학과 운동선수, 트레이닝의 원리와 계획의 수립,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설계, 근육기능 및 심폐기능 트레이닝 방법 등을 알아보며, 이를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트레이닝 처방의 이론과 실제를 습득함으로써 유능한 체육지도자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0. 교재명:
- 트레이닝론2, 한국체육과학연구원, 대한미디어 출판사, 2002
0. 참고문헌:
- 트레이닝 방법론(코치들을 위한 스포츠 생리학), 장경태 외 5인 공역, 대한 미디어 출판사, 2004. 2) 2급 생활체육지도자 연수교재(트레이닝 방법론), 한국체육과학연구원, 대한미디어 출판사, 2004. 3) 퍼스널 트레이닝의 정수, 윤재량 외 31인 공역, 대한미디어 출판사, 2005.
0. 수업방법:
- 선수훈련 프로그램 및 처방을 위해 과학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의 이론강의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주제에 따라서는 학생에게 발표토록 하며 현장의 실제적인 체험과 실습 기회제공, 그리고 선수의 훈련지도 현장 등의 방문이나 견학을 통해 교육효과를 극대화한다.
0. 평가방법:
- 출석 및 수업태도 : 20%, 과제물 : 20%, 중간고사 : 20%, 기말고사 : 40%
- 중간고사는 그 동안의 학습한 내용을 평가하고 훈련현장이나 훈련지도 및 훈련 시설을 방문하거나 견학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레포트를 제출토록 할 수 있으 며, 이들 내용은 기말고사시 동시에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 강의내용:
1주 : 오리엔테이션(강의진행 방식 및 학습내용 소개, 교재 및 준비물, 현장방문 시설 등)
2주 : 트레이닝의 개념/트레이닝의 목적과목표/체력의 개념과 운동능력
3주 : 체력의 개념과 운동능력/ 체력요소의 상호관계(종목별 주요근기능 요소)
4주 : 트레이닝의 효과/ / 근기능 트레이닝의 기초 및 적응
5주 : 근수축 운동의 에너지 공급과 회복
6주 : 트레이닝 원리 및 계획의 수립// 트레이닝의 원리
7주 : 트레이닝 원리 및 계획의 수립// 트레이닝의 구성요건// (운동양식, 운동강도, 운동시 간, 운동빈도)
8주 : 중간 평가
9주 : 트레이닝 원리 및 계획의 수립// 트레이닝 계획의 기초/ 트레이닝 단위와 1일 프로그 램, 주간 및 연간프로그램)
10주 : 트레이닝 원리 및 계획/ /연간 트레이닝 프로그램// 주기화 이론
11주 : 근기능 트레이닝 계획//트레이닝 프로그램 설계(1RM측정, 강도, 순서, 반복 휴식 인터벌)
12주 : 근기능 트레이닝 계획// 단기 계획(1일훈련 및 주간훈련 프로그램)
13주 : 근기능 트레이닝 계획//연간계획/연간계획의 주기화(단일, 이중 사잉클/근력 트레이 닝의 주기화)
14주 : 근기능 트레이닝 방법//조직적응 트레이닝, 근비대, 최대근력, 파워전환/ 근지구력 전환
15주 : 지구력 트레이닝의 기초 및 방법// 지구력관련 변인/ 주기화 모델/트레이닝의 종류 및 방법
16주 : 기말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