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요 학 력
1973. 서울 성남고등학교 졸업
1977.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과 졸업(학사)
1983.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학 졸업(교육학석사)
1997. 단국대학교 대학원 체육학 졸업(이학박사)
* 주 요 표 창
1986. 체육부장관상
1992. 대한체육회 연구상
1992. 교육부장관상
2008. 대한체육회 공로상
2008. 서울시 교원단체총연합회 교육공로 대상
2010. 대통령 표창
2015. 대한체육회 공로상
* 주 요 경 력
1977-1978 율곡중.종합고등학교 교사
1979-1979 한국체육대학교 강사
1979-1982 서울예술전문대학 강사
1983-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 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장
- 전, 교무처장
- 전, 생활체육대학 학장
- 전, 사회체육학과장,
- 전, 특수체육교육과장,
- 전, 사회체육대학원 주임교수,
- 전, 생활체육대학장
- 전, 교수평의회 의장
1985-1986 한국레크레이션협회 중앙위원
1985-1987 대한체조협회 기술 및 강화위원
1985-2000 국제체조연맹 국제심판
1989-1990 대한체조협회 이사(강화분과위원장)
1991-1993 대한체조협회 이사(연구 및 편집분과위원장)
1991-1992 주간한국스포츠 체조부분 편집위원
1996-1998 한국체육교육학회 이사(기계운동 분과위원장)
1997-2003 대한체조협회 이사(기술위원장)
1997-1999 한국사회체육학회 이사
2000-2004 동아시아체조연맹 기술위원
2000-2005 서울시 국민생활체조협의회 이사
2001-2001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객원연구원
2002-2004 대한체조협회 이사
2003-2005 서울체고 학교운영위원(부위원장)
2005-2008 대한체조협회 전무이사
2005-2009 아시아 체조연맹 집행위원(사무차장)
2005-2009 동아시아 체조연맹 집행위원(사무총장)
2005-현재 대한 대학스포츠위원회 상임위원
2008-현재 국제체조연맹(FIG) Council(평의원)
2009-현재 대한체조협회 수석부회장
2012-현재 한국스포츠학회 부회장
2013-현재 대한체육회 미래전략위원회 위원 & 소위원회 위원
* 국제행사 임원 참가
1985. 서울 아시아 청소년선수권대회 심판
1986. 서울 아시안게임 심판행정계장
1986. 일본 나고야 쥬니찌컵대회 및 동경컵대회 코우치
1988. 중국 심천 환태평양대회 심판
1989. 일본 동경 국제심판강습회참가
1991. 영국 셰필드 유니버시아대회 심판
1992. 일본 나고야 쥬니찌컵대회 심판
1992. 서울 환태평양대회 심판
1993. 일본 동경 국제심판강습회 심판
1994. 일본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심판
1995. 일본 후쿠오카 유니버시아드대회 심판
1996. 중국 챵샤 아시아선수권대회 심판
1996. 미국 애틑랜타올림픽대회 kBS해설위원
1997. 스위스 로잔느 세계선수권대회 심판
1997. 일본 동경 국제심판강습회참가
1998. 태국 방콕 아시안게임 심판
1999. 중국 텐진 세계선수권대회 심판
2000. 호주 시드니 올림픽대회 심판
2000. 부산 동아시아대회 경기부장
2001. 체코 프라하 국제심판강습회참가
2001. 벨기에 겐트 세계선수권대회 심판
2002. 부산 아시안게임 경기부장
2003. 미국 애나하임 세계선수권대회 심판
2004.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대회 심판
2006. 인도 수라트 아시아체조선수권대회 한국선수단 단장
2006. 덴마크 코펜하겐 세계선수권대회 한국선수단 단장
2007. 독일 수트튜가르트 세계선수권대회 한국선수단 총감독
2007. 중국 북경 프레올림픽 체조대회 한국선수단 단장
2008. 제73차 핀란드 헬싱키 국제체조연맹 총회 한국대표
2009. 노르웨이 릴레스트롬 평 국제체조연맹 평의회 참가
2010. 일본 지바 국제체조연맹 평의회 참가
2010. 제74차 슬로바키아 국제체조연맹총회 한국대표
2010. 중국 광저우 아시안게임 체조 기술관
2011. 터키 이즈미르 동계유니버시아드대회 한국선수단 부단장
2011. 미국 샌프린시스코 산호세 국제체조연맹 평의회 참가
2012. 영국 런던올림픽 참관
2012. 우즈베키스탄 아시아체조연맹 총회 한국대표
2012. 제75차 멕시코 칸쿤 국제체조연맹 총회 한국대표
2013. 영국 리버플 국제체조연맹 평의회 참가
2013. 우크라이나 키예프 리듬체조선수권대회 한국선수단 단장
2014. 인천아시안게임 체조경기 사무총장
2014. 중국 난닝 세계선수권대회 한국선수단 단장
2014. 제76차 우즈베키스탄 타슈겐트 국제체조연맹 총회 한국대표
2014. 카타르 도하 아시아체조연맹 총회 한국대표
2015. 호주 멜버른 국제체조연맹 평의회 참가
2015.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한국선수단 부단장
* 논문
-김동민(1983) 철봉운동에서 한손휘돌기 기법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동민(1984). 제22회 세계체조선수권대회 남자 자유연기에 관한 고찰(마루운동, 뜀틀을 중심으로). 한국체육대학 부설 체육연구소 논문집.
-김동민(1985). 체조선수의 운동적성 평가 및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 논문집.
-김동민 외1인(1985). 제22회 세계체조선수권대회 연기내용의 가치점과 완성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체육학회지.
-김동민 외1인(1986). 제10회 Asia 경기대회 체조경기의 내용에 관한 분석. 한국체육대학 부설 체육연구소.
-김동민(1988). 조마경기의 착지 성공률에 관한 분석. 한국체육대학 논문집.
-김동민 외2인(1990). Aerobic운동이 여성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 부설 체육과학연구소.
-김동민 외2인(1990). 철봉운동 Endo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대학 부설체육과학연구소.
-김동민 외2인(1990). 여자 조마운동에서 Yurchenko동작의 역학적 분석. 한국체육대학 부설 체육과학연구소.
-김동민 외3인(1995). 체조경기의 기초트레이닝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체육대학교 논문집.
-김동민 외3인(1997). 철봉 내리기 동작 시 몸 펴 두바뀌 뒤 공중돌며 비틀기 동작의 유형에 따른 공중동작국면의 운동학적 특성. 제35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김동민(1998). 철봉 뒤 휘돌기 유형에 따른 내리기 기술의 생체 역학적 분석.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동민 외2인(1999). 철봉 Kovacs 동작의 Tucked, Piked, stretched의 운동학적 비교. 한국체육대학교 논문집. 제22집
-김동민외2인(1999). 평행봉 Morisue Piked 동작 시 스윙국면의 운동학적 요인이 공중동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논문집. 제22집
-김동민 외3인(2000). 평균대경기 시 앞 공중돌기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제9권 2호
-김동민 외2인(2000). 철봉 Kovacs 동작의 Tucked, Piked, Stretched의 운동학적 비교. 한국운동역학회지. 제9권 3호
-김동민 외3인(2002). 평행봉 Basket to Handstand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제13권 제4호(통권 52호)
-김동민 외6인(2002). 도마운동 Cuervo Stretched 동작의 국면별 역학적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제13권 제3호(통권 51호)
-김동민외 1인(2003). 체조선수의 사회적 지지와 인지기량 및 목표지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제42권 제3호
-김동민 외4인(2003). 도마운동 Ropez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42권 제3호
-김동민 외1인(2003) 중등체육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제1권 제1호(창간호)
-김동민 외3인(2003) 제14회 부산아시아경기대회 남자 체조경기의 연기내용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논문집 제26집
-김동민 외5인(2004) 아테네올림픽 대비 체조 메달 가능종목의 기술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연구보고서. 2004-20
-김동민 외2인(2005) 체조 지도자의 리더쉽유형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지도자 효율성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6권
김동민 외4인(2005) 체조경기의 즉각적 피드백을 위한 기술분석 프로그램 개발. 국민체육 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2005-20
-김동민 외5인(2005) 도마 Ropez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제15권 제2호.
-김동민 외2인(2007). 엘리트 스포츠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이 대학운동선수의 커뮤니케이션 촉진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8(5).
-김동민 외1인(2011), 남자 평행봉 종목의 요소그룹유형에 따른 난도 가치점과 완성도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22권 1호 (통권122호),
김동민 외1인(2013). 2011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남자 평행봉 결승경기의 연기내용 경향분석. 한국스포츠학회. 제11권 제1호
-김동민 외1인(2014). 제44회 세계체조선수권대회 도마경기의 연기내용 동향분석. 스포츠 사이언스, 제31권 제2호
-김동민 외1인(2014). 세계우수체조선수의 평행봉 연기 내용과 완성도애 관한 분석. 스포츠 사이언스, 제32권 제1호
-김동민 외1인(2014). 제44회 기계체조 세계체조선수권대회 마루운동 결승경기의 연기내용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53권 제2호
-김동민 외1인(2015). 세계우수체조선수의 평행봉 연기 내용 비교분석. 스포츠 사이언스, 제33권 제1호
-김동민 외1인(2015). 2014년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남자 도마 결승경기의 그룹유형별 실시감점 및 연기 완성도 분석. 한국스포츠학회. 제13권 제2호
* 저서
-김동민 외2인.(1988). 체조. 명진당.
-김동민 외14인.(1991). 생활체육지도자를 위한 에어로빅. 도서출판 금광.
-김동민 외4인.(1993). 체조(개정판). 명진당.
-김동민 외4인.(1996). 즐거운 생활체조. CD-ROM제작. 국민생활체육협의회.
-김동민 외5인.(1996). 고등학교 체조.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1종교과서)
-김동민 외3인 (2002). 고등학교 체조 교육인적자원부(1종교과서)
-김동민 외5인 (2009). 체조 훈련 지도서 체육과학연구원
-김동민 외3인 (2011). 체조운동, 교육인적자원부 (1종교과서)
-김동민 외3인 (2013). 체조운동, 전라북도 교육청(인정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