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승구 주요 프로필
97-현 : 한국체대 교양학부 한국사교수
98-현 : 한국무예연구소장
02-07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궁중의례 고증책임위원>
03-07 : 국기원 태권도사 강사
04-04 : 구리시 동구릉 세계문화유산 추진위원회 위원
04-15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강사
04-07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문화사>> 편집기획위원
04-현 : 한국궁중문화연구원장
06-07 : 문화재청 <궁중의례 자문위원>
06-07 : 문화재청 <자체평가위원회 정책평가위원>
06-07 : 문화관광부 <전통문화 특별자문위윈회 위원>
06-08 : 상명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강사
06-현 : 문화전략연구소장
07-09 :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의례, 무예)
07-08 : 문화관광부 <활백일장 자문위원>
07-08 :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강사
07-08 : 국립민속박물관 <활백일장 추진위원>
08-11 : 글로벌콘텐츠학회 부회장
09-10 : 한국역사민속학회 부회장
10-11 : 건국대 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강사
11-12 : 인문콘텐츠학회 편집위원장
11-현 : 갈라파고스 콘텐츠포럼 운영자
12-13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대학원 강사
12-14 : 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 집행위원
12-13 : 진단학회 섭외이사
12-현 : 한국공연문화학회 편집위원 겸 연구이사(축제/연희)
12-13 : 한국풍물굿학회 연구기획이사
12-13 :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대학원 초빙교수
13-14 ; 인문콘텐츠학회 부회장 겸 기획출판위원장
13-15 :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무형문화재분과)
13-16 : 신화역사공원 조성사업 자문위원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14-14 : 국기원 태권도연구소 편집위원
14-15 :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15-16 : 인문콘텐츠학회 부회장
15-17 :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 문화재 전문위원
15-18 : 송파문화원 이사 (18. 7.25)
15-16 : 서울특별시 문화재위원회 문화재위원 (무형문화재분과)
15-16 : 한국체육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장
16-16 :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글로컬창의학과 강사
16-16 : 통합씨름협회 이사
15-20 : 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 감사
15-16 : 국기원 태권도연구소 운영위원
15-18 : ‘강화역사유산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자문위원
15-현 : 한국문화콘텐츠연구소 소장
15-18 : 경기학회 부회장
16-18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 초빙교수
16-20 :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회 문화재위원
16-20 : 전라북도 문형문화재위원회 문화재위원
16-17 : 정조대왕 화성행차 수원시 자문위원
16-20 :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16-16 : 장수가야 세계문화유산추진위원회 위원
16-현 :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지 편집위원(2016.10.10~현)
17-23 : 인문콘텐츠학회 평의원 겸 연구윤리위원장
17-20 : (재)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ICM : International Centre of Martial Arts) 이사
17-18 : 한국체육대학교 학술정보원장
17-18 : 한국체육대학교 방송국 지도교수 (2017.4.1)
17-21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군사지 편집위원
17-19 : 한성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위원 (2017.8.3)
18~현 : 조선시대사학회 고문.
18-19 : 송파문화원 기금관리위원회 부위원장 (3.6)
19-20 : 태권도진흥재단 태권도박물관 운영자문위원 (2019.7.31~2020.7.31)
20-22: 문화체육관광부 전통무예진흥위원회 위원장 (2020.5.20~2022.5.19)
21-23: 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 이사.
21-현: 문화체육관광부 체육단체 혁신평가위원회 위원장(2021.8.10~현재).
22-22: 한국체육대학교 제8대 총장임용추천위원회 위원장.
23-25: 한국체육대학교 대학평의원회 의장(23.3~25.2)
24-현: 서울특별시 무형유산위원회 위원(24.12~26.11)
21-현 : 2021년 상반기 글로벌박사양성사업 평가위원 (한국연구재단).
수상경력
대통령 표창 (2002) "경복궁 광화문 개폐및 수문장 교대의식" (고증 및 재현 책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표창 (2011)
한국체육대학교 총장 표창 (2018)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2023)
저서 및 보고서
<<한국양궁삼십년사>>(1992, 대한양궁협회).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1994, 창작과 비평사, 공저)
<<조선전기 무과연구>>(1994. 국민대 박사학위논문)
<<교실밖 국사여행>>(1994, 역사학연구소, 공저).
<<한국체육대학교삼십년사>>(1997, 한국체육대학교).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997, 한국역사연구소, 공저)
<<조선후기 수도방위체제 연구>>(1998. 서울학연구소, 공저)
<<조선전기 무과전시의연구>>(1999, 충남발전연구원, 공저)
<<조선시대 근기지방의 문적, 유물, 유적 조사연구>>(국민대, 1999. 1 공저)
<<임진왜란과 권율장군>>(전쟁기념관, 1999. 9. 공저)
<<민속으로 본 조선시대 선인들의 삶과 문화>>,(국립민속박물관, 2001. 8 공저)
<<신편 한국사>> 51권 (2001, 국사편찬위원회, 공저)
<<조선시대 궁성문 개폐 및 수문장 교대의식>>(2002,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조선시대의 정치와 사회>> (2002, 집문당, 공저).
<<조선 세종조 궁중조회, 상참의 고증연구>>(2003, 문화재청)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2003, 집문당, 공저).
<<조선시대 흥인지문 파수체제 고증연구>>(2004, 5. 종로문화원)
<<조선시대 신문고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2004, 종로구청)
<<조선무사영웅전>>(2004, 한국국학진흥원)
<<한국 무예의 역사문화적 조명>>,(2004, 국립민속박물관),
<<조선 숙종 인현왕후 가례의 고증연구>>(2004, 문화재청)
<<한국무예사료총서>> 1권~13권 (고대~근대) (2004-2007,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정월편), 국립민속박물관, 공저. 2004. 12
<<한국세시풍속사전>>(봄편) 국립민속박물관, 공저, 2005. 5.
<<1892년 임진 진찬연 고증연구>>(2005, 문화재청)
<<가평군지>>(2005. 가평군편찬위원회, 공저)
<<수원 화성행궁 및 화령전 궁중유물 복원⋅전시 고증연구>>(2005, 수원시 화성사업소)
<<무술, 중국을 보는 또 하나의 창>>(2005, 국립민속박물관, 공저)
<<임진왜란과 한일관계>>(2005,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공저)
<<조선 영조대 대사례 고증연구>>(2006, 문화재청)
<<전쟁의 상흔에서 기억까지>>(2006. 국사편찬위원회, 공저)
<<한국 전통사회의 재인식>>(2006, 경세원, 공저)
<<문화재 활용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연구>>(2006. 문화재청)
<<국립묘지 국가의례 현대화 방안연구>>(2007, 국가보훈처)
<<전통무예 태격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2008, 김제시)
<<문화재 활용 가이드 북>>(2008, 문화재청)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둑제고증연구>>(2008, 문화관광부).
<<충남의 역사문화를 기반으로한 문화콘텐츠개발 보고서>>(2008. 문화관광부).
<<문화재의 공익적・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2008, 문화재청)
<<1795년 정조 화성행차의 재현방안 고증 연구>>, (2008. 경기도)
<<제주 목관아지의 문화콘텐츠 개발연구>>(2008, 제주시)
<<태권도 예식 개발연구>>(2009. 국기원)
<<궁중문화축제 행사 고증연구>>(2009, 수원화성운영재단)
<<한라산신제 복원 연구>>(2009. 제주대)
<<한국역사민속학강의>>(1,2권) (2010, 민속원, 공저)
<<서구문화와의 만남>>(2010, 국사편찬위원회, 공저)
<<왕실의 천지제사>>(2011, 돌배개, 공저)
<<조선후기 당쟁과 광주이씨>>(2011, 지식산업사, 공저)
<<사냥으로 본 삶과 문화>>(2011, 국사편찬위원회, 공저)
<<콘텐츠산업과 고유문화 연계방안 연구>>(2012, 한국관광연구원, 공저)
<<한국의 인문정신과 선비문화>>(2013, 아시아와 한류 교양총서, 공저)
<<한국 무예 놀이 생활문화 콘텐츠 >>(2013, 아시아와 한류 교양총서, 공저)
<<즉위식, 국왕의 탄생>>(2013, 돌베개, 공저)
<<인문콘텐츠의 사회적 공헌>(2013, 북코리아, 공저)
<<산동성 지역성 문화 - 榮成 해양문화 원형 생태산업 연구>>(중국 산동성 영성시, 2014. 공저)
<<조선시대 과거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공저.
<<공주고도보존육성기본계획>> , 공주시, 국토연구원, 2014. 6. (공저).
<<놀이로 본 조선>>, 글항아리, 2015. (공저)
<<일제강점기 단절된 무형유산 기초목록 조사연구>>, 국립무형유산원, 2015. 12. (보고서)
<<강화 해양관방유적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기초연구>>, 강화고려역사재단, 2015. (보고서)
<<일제강점기 단절된 무형유산 사례와 가치의 재발견>>,(무형문화유산 학술총서 4), 국립무형유산원, 2015. (공저)
<<씨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신청서>>, 대한씨름협회, 2015. (보고서)
<<태권도 일반에 관한 연구>>, 태권도진흥재단, 2016. 7 (보고서)
<<강화 해양관방유적의 국내 비교연구>>, 인천광역시 강화고려역사재단, 2016. 12. (보고서)
<<강화해양관방유적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보전방안>>, 강화고려역사재단 학술총서 1, 2017. (공저)
<<접속-혼종-창의>>, 북코리아, 2017. 9 (공저)
<<제주 역사문화 자원의 대중적 확산을 위한 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2017.11.(공저)
<<세계무예 기초조사 연구>>, 국제무예센터, 2017. 12. (보고서)
<<옛 지도로 본 송파이야기>>, 송파문화원, 2017. 12 (저서)
<<단종에게 길을 묻다>>, 영월문화재단, 2018. 4. (공저)
<<서울의 무신도 종합전수 조사 및 활용계획>>(마을제당편), 서울특별시, 2018. 4. (보고서)
<<태권도 명인제 연구>>, 스포츠개발원, 2018. 5. (보고서)
Ssireum, Traditional wrestling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ctober. 2018.
<<스포츠발전 공헌자 구술채록 대상자 풀선정 및 중장기발전방안>>,국립체육박물관, 2019. 12. (보고서)
<<설봉서원 사현의 생애와 사상>>, 경인문화사, 2019. 12. (공저)
<<근대5종 국민스포츠화를 위한 혁신 전략 방안>> 대한근대5종연맹, 2020. 11. (보고서)
<<장애인 국가대표 월급제 지도자 운영방안>>, 대한장애인체육회, 2020. 12. (보고서)
<<삼화사수륙재역사>>, 삼화사수륙재보존회 엮음, 2020. 12. (공저)
<<서울의 마을제당과 무신도>>, 민속원, 2021. (공저)
<<세계유산 잠정목록 신규발굴>>, 문화재청, 2021. 12, 보고서
<<'호랑이' 한국민속상징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21. 12. 공저.
<<체육단체 혁신평가>>,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1. 12. 보고서.
<<순창 단오성황제의 연행의례>>, 순창군청, 2022. 1. 보고서.
<<체육단체 혁신평가-지방체육회 시범진단컨설팅>>,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12. 보고서
<<체육인 복지증진 시책수립연구>>,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12. 보고서
<<서울 역사답사기 7-한양의 길을 걷다>>, 서울역사편찬원, 2023. 8. 공저
<<체육단체 혁신평가-지방체육회 진단컨설팅>>,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12. 보고서
<<스포츠 국제심판 실태조사 및 로드맵 수립>>,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12. 보고서
<<충북 유학의 학맥과 학풍>>, 충청북도, 충북역사문화총서 2, 2023. 12. 공저.
<<순창의 성황대신사적과 단오난장>>, 순창문화총서1, 민속원, 2024. 3. 공저
<<순창 단오성황제 연행의례>>, 순창문화총서2, 민속원, 2024. 3. 공저.
<<제2차 전통무예진흥 기본계획 수립>>, 국제무예센터/문화체육관광부, 2024. 7. 보고서
<<결련택견 실태조사>>, 서울특별시, 2024. 12. 보고서
<<2024년 체육단체 혁신평가 종합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24. 12. 보고서
<<2024년 지방체육회 진단컨설팅 종합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24. 12. 보고서.
논문
1989 -1993
<조선초기 무과제도><<북악사론>>1, 1989.
<조선초기 도시와 그 성격><<한국학보>>16권 3호, 1990.
<해원 황의돈의 역사학연구> <<북악논총>> 9집, 1991. 9.
<조선초기 복시에 대한 검토><<택와 허선도선생 정년기념사학논총>>, 일조각, 1992. 12.
<조선전기 정치사에 대한 시론-연산군대를 중심으로><<북악논총>>, 1993. 5
1994
<조선 선조대 무과급제자의 신분><<역사학보>>144집, 1994. 12
<조선초기 야사편찬과 그 의미> <<조선 사회와 사상>>, 1994.
1995
<발해 무왕의 정치적 과제와 등주공격> <<군사>>30집, 1995. 12.
1996
<임진왜란 무과급제자의 신분과 특성> <<한국사연구>>92집, 1996.
<허선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1997
<서평 : 정만조의 조선시대 서원연구> <<북악사론>>4집, 1997. 8.
<임진왜란 중 무과의 운영실태와 기능><<조선시대사학회>>1집, 1997.12
1998
<조선시대 격방의 체육사적 고찰 -한국 골프사의 기원과 관련하여><<교양교육논문집>>3, 1998.
<서평 : 이성무의 한국 과거제도사 연구><<역사학보>>157집, 1998.3
<Cultural and Historical Overview of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국제 스포츠과학 학술대회 , 1998 권 1 호, Startpage 164 , Endpage 168 , Totalpage 5
1999
<조선 태종대 왕권강화와 그 역사적 의미><<한국체육대학교논문집>>4집, 1999. 1
<임진왜란기 조선군의 군사지휘권><<임진왜란과 권율장군>>, 국방부 군사연구소, 1999.
<A Historical Study on Korean Golf From 14th><<제4회유럽스포츠과학학술대회논문집>>1999. 7
<조선시대의 기마무예사 관견><<동북아체육스포츠사학회발표문>>, 1999.8.
<조선시대의 무예사 연구-모구를 중심으로-><<군사>>38집, 1999.10.
<한국 특수체육의 역사적 고찰><<99 한국사회체육학술대회논문집>>1999.11.
<단종대 무과급제자의 신분과 그 정치사회적 의미><<진단학보>>88집, 1999. 11.
2000
<한국 스포츠 100년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천마>>17집, 한국체대, 2000.
<서평 : 동서교류사를 통해 본 한국문화 바로보기><<실크 로드와 한국 문화>>, 소나무, 2000.
<한국 태권도사의 역사적 배경><<제1회 세계올림픽태권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체육대학교, 2000.5
<조선초기 족보의 간행형태에 관한 연구><<국사관논총>>89집, 2000.
<조선시대 궁술연구><<한국역사속의 국궁문화>>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학술대회 발표집, 2000. 9.
<조선시대 무과에 나타난 궁술과 그 특성><<학예지>>7집(육군박물관), 2000.12.
2001
<서평 : 속오군을 통해 본 조선후기 지방군제사의 조명><<한국사학보>>제10호, 2001.
<한국의 궁술과 그 특성><<제4회 동북아세아체육사학회발표문>>2001. 8.
<옛날 과거는 어떻게 보았을까?><<민속으로 본 조선시대 선인들의 삶과 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01.8
<한국 무예의 역사와 특성><<군사>>43집, 2001.8.
<일제시대의 체육과 무용><<신편 한국사>>51. 국사편찬위원회, 2001. 12.
2002
<한국의 축국><<BESETO>> VOL84, 2002. 4.
<한국 축구의 도입과 초창기 모습들>><<BESETO>> VOL84, 2002. 4.
<조선시대 포구악의 놀이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식 농구의 기원과 관련하여><<한국체육사학회지>>9, 2002. 7.
<the development of korean chatch-ball and its historical characters in the side of physical education><<동북사체육스포츠사학회발표문>> 2002. 7. kanazawa, japan
<서평 : 기억의 망각'에서 건져낸 한 무사의 삶「조선의 협객 백동수」>,<<서평문화>> 2002.
<조선후기 무과의 운영실태와 기능 : 萬科를 중심으로><<조선시대사학보>>23, 2002. 12.
<16세기 무과의 운영과 추이><<조선시대 정치와 사회>>, 최승희교수정년기념논문집, 집문당, 2002. 12
<조선시대 궁중의례의 재현과 활용방안><<전통문화의 가치인식과 활용방안>>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2. 12.
2003
<한국 축국의 역사와 특성> <<전통과 현대>>, 2003.
<임진왜란 중 무예서의 편찬과 의미-무예제보를 중심으로->,<<교양교육논문집>>8, 한국체육대학교, 2003.
<조선후기 무묘의 창건과 향사의 정치적 의미-관왕묘를 중심으로-><<조선시대 정치와 제도>>, 2003,
2004
<조선의 무과는 양반의 과거, 평민의 희망이었다><<역사탐험>> 월간중앙, 2004년 3월호.
<한국무예의 정체성 탐구 : 고구려 무예를 중심으로><<한국체육사학회지>>13, 2004.
<한국무예사 사료총서의 편찬과 그 의의><<한국무예사료총서>> -고대 중세편/역주본, 2004.
<고구려 무예의 특성과 그 의미><<역사민속학>>18, 2004.
<한국 무예의 정체성 탐구><<한국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발표문>>, 2004. 6.
<장애를 통해 본 한국인의 몸 인식><<-몸의 사회사-학술대회발표문>>, 한국사회사학회, 2004. 10.
<한국무예사에서 본 '무예제보'의 특성과 의의><<한국무예의 역사문화적 조명>>, 국립민속박물관 2004.
<조선시대 가례의식의 발달과 특성><<궁중의례 고증사업>>, 2004.
<공차기를 통해 본 한국인의 놀이문화 -흙 놀이문화의 탐색-> <<숨소리>> 박경리의 토지문학관, 2004. 12월호
2005
<한국 술 문화의 원형과 콘텐츠화 - 술 문화의 글로벌콘텐츠를 위한 담론체계 탐색-><<인문콘텐츠학회 학술심포지엄발표문>>, 2005.
<조선전기의 관무재 연구><<향토서울>> 2005.
<한국 태권도의 문명사적 의미와 과제> <<태권도지>> (대한태권도협회, 2005, 3)
<문화원형의 개념과 문화콘텐츠의 특성><<문화원형워크샵>> 2005. 9. 23
<인문학도와 문화콘텐츠><<한국외국어대학교 특강 발표문>>2005. 9. 26. 용인캠퍼스
<조선시대 진찬의례의 재현과 의미><<1892년 임진진찬의 고증재현행사>>, 2005.
<조선의 무과를 통해 본 서울의 풍속도><<서울시사편찬위원회회 발표회 발표문>> 2005.11
2006
<권력과 사냥><<전국역사학대회>>, 2006.
<수원 화성행궁 앞 공간의 문화 복원과 전망 - 21세기 한국문화의 위상과 성찰><<인문콘텐츠>>8, 2006.
<조선의 무과를 통해 본 서울 풍속도><<향토서울>>67, 2006.
<미이라를 통해 본 조선시대 한 무관의 삶과 행적 : 17세기 무관의 지위와 역할을 중심으로><<학예지>>13집, 육군사관학교박물관, 2006.
<조선시대 궁중의례 복원⋅재현의 현황과 과제><<궁중문화연구원창립기념발표회>>,2006.
<의례는 축제다 -화성이 가진 또 하나의 세계문화유산 ->(화성연구회초청 특강발표문, 2006.
<전통 의례의 발굴과 복원을 통한 문화관광 산업의 활성화> <<21세기 전통 인문학과 문화관광 산업의 만남 >>(문화관광부, 2006.11)
2007
<디지털 시대의 역사학의 소통과 전망>,<<제1회 CT 포럼 발표문>>, 문화관광부, 2007.
<태권도의 정체성과 문명사적의의><<국기원태권도학술대회>>국기원, 2007.
<한국의 문화원형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전략>,<<한중일 전통문화 콘텐츠전략 국제학술대회>> 2007.
<서평 : 효로써 천하를 다스리려 한 효명(孝明)의 꿈><<한국음악사학보>>39호, 2007.
<조선시대 기로연의 설행과 정치사회적 의미><<조선시대 기로연학술세미나>>,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7.
2008
<안티-올림픽 세계가네포대회의 역사적 의미 - 아시아 아프리카 중심의 새로운 세계대회의 시도-> <<한국여성체육학회지>>제22권 제2호,2008.
<군사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사례와 전망><<군사학연구>>6, 2008.
<한국의 궁중공연과 문화콘텐츠><<한중일 궁중공연과 문화콘텐츠>>제2회 한국궁중문화
연구원 학술심포지움 발표문, 2008
<조선시대 대사례의 시행과 정치사회적 의미 - 영조 19년 대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논
총>>32집, 2008.
<여성 해방과 도핑 - 동독스포츠 성장의 명암 -><<체육사학회지>>13권1호, 2008.
<궁궐문화 컨텐츠 현황과 과제><<고궁의 관광자원 활용을 통한 가치제고 방안>>2008.
2009
<전북 운봉고원의 역사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 개발전략><<운봉공원의 역사문화 및 자연생
태 자원의 개발방향>>, 한국역사민속학회, 전주대 전통문화콘텐츠 사업단. 2009.
<1795년 정조의 8일간 화성행차의 문화적 가치와 관광자원화 방안><<수원학연구>>4,2009.
< 태권도의 정체성과 문명사적 의의><<동양문화연구>>4, 2009.
<한국 무예의 가치와 미래 전망><<한국무예단체협희회 재4회 발표문>>, 2009
2010
<부안 내소사 석포리 당산제의 복원과 문화콘텐츠화 방안><<부안내소사석포리당산제의 복
원방향>>,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한국 민속의 활용론과 문화콘텐츠 전략><<한국학중앙연구원 민속학 30년 학술대회 발표
문>>, 2010.
<서평 : 조선의 국가제사, 이념과 주술의 이중주><<종교문화연구>> 14집, 2010.
< 조선시대 관왕묘의 변천과 특성><<한중역사민속학자학술대회>>, 중국 온주, 2010.
<전주 성황제의 제의구조와 의례적 특성><<전주 성황제 학술대회 발표문>>, 2010.
<한국근대스포츠와 여가의 탄생><<한국학논총>>34집, 2010.
<논산 수박희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논산시 박물관대학자료>>, 2010.
<궁중무용에서 본 남북한 무용의 분화와 특성><<한국무용연구>>28권2호, 2010.
2011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무대화 방안><<제3회 한국궁중문화연구원학술심포지엄>>2011. 2.
<도구로 본 성호의 실학정신><<실학박물관전시도록>>, 2011. 6.
<한국의 궁중공연과 춘앵전><<2011년 춘앵전 보존회 하계워크샵특강자료집>>, 2011. 8.
<한국의 무형문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사례와 전망 -문화콘텐츠학의 정립을 중심으로><<동아시아 예술 철학의 문화콘텐츠 실크로드 HRD사업팀 국제학술대회>>(성대), 2011. 8.
<한국의 무형문화와 문화콘텐츠 -역사학적 재현을 중심으로><<제4회 문화와 문화산업 국제학술심포지움발표문>>(한국외국어대학교), 2011. 8.
<임진왜란중 독산성 전투와 그 역사적 의의>(오산시 학술대회발표문), 2011. 10.
<만물문을 통해 본 성호실학의 현대적 의미>(안산시 성호학학술대회 발표문), 2011. 12.
<수원 화성행궁의 활용방안과 미래가치><<수원학연구>>8호, 2011. 12.
<만물문을 통해 본 성호 실학의 현대적 의미> <<성호학보>>10호, 2011. 12.
<한국 민속의 활용론과 문화콘텐츠 전략><<인문콘텐츠>>21, 2011.
2012
<임진왜란 중 독산성 전투와 그 역사적 의의><<한국학논총>>37, 2012년 2월호 게재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공연예술화 방안><<공연문화학회>>24, 2012.
<전통체육의 가치와 미래 전망><<스포츠과학>>118, 체육과학연구원, 2012.2.29.
<태권도의 문명사적 의미와 택견의 미래 가치><<문화재사랑>>4월호, 문화재청, 2012. 4.
<아이들도 왕도 신나는 장치기 놀이><<스포츠과학>>119, 체육과학연구원, 2012. 5.
<역사공간의 복원과 재현을 통한 도시재생의 의미> 인문콘텐츠 학술대회논문집, 2012.6.15
<조선시대 강무의와 대사례의><<조선시대의 오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2. 6.
<역사공간의 복원과 재현을 통한 도시재생의 의미><<인문콘텐츠학회>>25, 2012. 6.
<익산 역사공간의 복원과 도시재생의 의미와 과제-백제 고도를 중심으로->(익산 고도육성시민대학 강의집) 2012. 7. 10.
<조선시대 장애의 분류와 사회적 처우><<한국학논총>>34, 2012. 8.
<왕세자 신체단련과 무예교육><<화성시 특별강연자료집>> 2012. 10. 5
<유기농 테마파크의 비전과 전략><<제1회 유기농테마파크 학술대회 자료집>>, 2012.10.8.
<지구촌시대의 문화콘텐츠와 문화코드><<2012년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집>>(한국외대) 2012.11.17.
<문화원형 콘텐츠의 현황과 전망 -2002~2012년을 중심으로-><<인문콘텐츠학회10주년기념학술대회>>, 한국외대, 2012. 12. 22.
<지구촌시대 성호학의 가치와 의미 -문화콘텐츠 관점을 중심으로><<성호학보>>12, 2012
2013
<무형문화의 복원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내소사 석포리 당산제를 중심으로-><<한국학논총>>39집, 2013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사업의 성과와 과제 - 한계와 개선방향을 중심으로-><<2013년 문화원형콘텐츠 활용활성화전문가 제미나>> 2013. 6. 5. 문화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다산의 마지막 잔치, 회혼례><<경기나루>>7월호, 경기문화재단, 2012. 6.
2013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의 상호창조를 위한 시론 - 관게론적 관점에서 본 유기농테마파크의 비전과 전략><<인문콘텐츠>> 29집, 2013. 6.
<효명세자의 삶과 예술><<2013년창경궁 통명전인문학강좌>>, 2013. 8.
<전주 성황제의 변천과 의례적 특성><<한국학논총>>40집, 2013. 8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사업의 성과와 활용 - 연계와 확산을 중심으로-><<2013년 문화원형콘텐츠 활용활성화전문가 제미나>> 2013. 10. 24. 문화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팩션 창작을 위한 원천시나리오 개발><<제24회 갈파파고스콘텐츠포럼>>, 2013. 10.19
<지구촌시대 성호학의 의미><<지식콘서트 발표문>>, 2013. 10. 26.
<어느 신발장수 이야기><<한국학중앙연구원 강의자료집>>, 2013. 10. 29.
<순창의 단오제의 현대적 의미와 전승방향><<순창단오제의 역사적가치와 현대적 의미>>전북전통문화연구2013.11.9.
<전통스포츠의 가치와 문화융성 전략><<한국스포츠문화재단학술세미나>>, 2013. 11. 15.
<영조대 옹주가례의 내용 검토><<영조의 왕자, 옹주, 세손>>(장서각), 2013. 12.
<한민족 문화아카이브 개념과 범주><<한민족 문화아카이브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공청회>>(문화관광부, 한국문화정보센터), 2013. 12. 16.
2014
<조선시대 둑제의 변천과 의례><<공연문화연구>>28집, 2014.2.
<전북 운봉의 역사문화 자원과 문화콘텐츠 전략><<한국학논총>>41. 2014. 2.
<스포츠로 본 조선의 놀이문화><<서울대학교규장각 금요시민강좌원고>>, 2014. 3.
<환구단과 조선호텔 -제1차 세계대전과 식민공간의 재편 - ><<2014-1차 이코포럼 식민공간의 재편과 저항 ‘Reform and Resistance’>>, 2014. 4. 17
<조선의 건국신화와 성역화><<태조 이성계 문화관광해설사 특화교육>>(전라북도, 전주대 산학협력단), 2014. 4. 30
<조선왕조의 전주인식과 지향><<전주의 역사와 사상>>(전라북도, 전주대 산학협력단), 2014. 5. 12.
<근대 여가의 표상, 해수욕장><<바다, 추억, 그리고..>>(보령박물관 특별기획전), 2014. 6. 30.
<전주대사습놀의 개념과 형성과정><<전주학연구>> 8집, 2014. 12.
<제1차 세계대전과 식민공간의 재편 -원구단과 조선철도호텔을 중심으로-><<한국학논총>>, 2014.8 .
<기록자료의 가치와 활용><<제6기 전통마을을 활용한 한류체험연수 자료집>>, 2014. 8.11~12. 한국국학진흥원.
<유자광의 생애와 정치활동 - 무오사화이전을 중심으로-><<유자광을 재조명한다 학술심포지움>>, 한국예총남원지회, 2014. 10. 10
<경기(京畿)를 통해 본 서울의 정체성-고려와 조선 경기의 비교를 중심으로-><<"한양과 개경의 정체성 비교" 심포지움>>, 2014년 서울학연구소심포지움, 11.6.
<죽막동 해양제사유적의 세계유산 가치와 등재방향><<부안해양문화의 세계문화유산 가치>>, 2014. 11. 21
<서울의 역사도시 비전과 전략><<역사도시 서울 조성을 위한 워크숍>>, 서울특별시, 2014. 11. 22.
<조선후기 수도방어와 남한산성><<남한산성 사료총서>>5권, 2014. 12.
2015
<경기를 통해 본 서울의 정체성-고려와 조선의 경기 비교를 중심으로-><<서울학연구>>58호, 2015. 2.
<영조의 딸 혼례 특징과 <<옹주가례등록>>의 가치><<한국학논총>>43. 2015. 2.
<강화도 해양관방유적의 세계유산 가치와 등재전략><<강화도 역사유산 세계유산적 가치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전략>>, 2015. 3. 인천시.
<강화도 해양관방유적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강화도 역사유산 세계유산적 가치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전략>>, 2015. 5. 인천시
<일제강점기 단절된 무형유산의 조사와 그 의의-기억, 성찰, 재생의 대상으로서 열린 과거><<일제강점기 단절된 무형유산의 사례와 가치의 재발견>>, 광복70주년 학술대회, 국립무형유산원, 2015. 8. 13.
<부안 죽막동 해양제사유적의 세계유산 가치와 등재 방향><<한국학논총>.44, 2015. 8. 31
<강화 해양관방유적 세계유산 잠정목록 신청서>, 2015. 10.
2016
<스포츠로 본 조선의 놀이문화><<역사와 담론>>78집, 2016. 04
<조선의 골프, 격방> <<월간문화재>> 통권 제377호, 한국문화재재단. 2016. 5.
<전북지역 유네스코 유산의 가치와 전망><<전라북도 문화해설사 강의자료집>>, 2016. 06.
<일기로 본 조선의 직업세계><<소재개발강좌1 ‘조선시대 일기’ 강의자료집>>방송작가 어드밴스드 아카데미, 2016. 6
<통일로 파발제의 활성화 전략>>(통일로 파발제 학술대회, 은평구청), 2016. 06.
<조선시대 武廟의 특성과 關王廟의 변천><<溫州大學學報>> 社會科學版, 2016. 7월, 제29권 제4기, 중국 온주.
<지구촌시대의 한국문화와 문화콘텐츠><<지역문화의 이해와 스토리텔링>>,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 2016. 8. 29.
<간신 유자광 再考 -유교적 명분과 士林 敍事의 해체를 중심으로><<한국학논총>>46, 2016. 8.31.
<신 무형문화재법과 전통적 기예 무예 조사방향><<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과 무형유산조사>>,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민속학회 공동학술대회, 2016. 9,2.
<불교의식, 내소사 당산제><<금강신문>>, 2016. 9. 28.
<수원 화성의 인문학적 의의와 그 미래지향적 함의><<제4회 세계인문학포럼발표집>>, 한국연구재단, 2016..10.
<북한산성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등재전략><<북한산성의 세계유산 등재 타당성 및 추진전략>. 경기문화재단, 2016. 10.
<강화 해양관방유적의 가치성 연구 -한국 성곽유산의 총체성-><<국내 성곽의 보존과 활용>>, 아시아 성곽유산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2016 남한산성 국내학술 심포지엄>>, 경기문화재단.2016. 11. 3.
<강화 해양관방유적의 구조와 운영체제><<강화해양관방유적과 국내유사사례비교>>,2016.11. 11. 강화고려역사재단.
<세계유산의 등재현황과 전북지역 제철유적><<가야문화유산 유네스코 등재심포지움>>, 2016. 12. 전북 장수군.
<새 무형문화재법과 전통적 기예 무예 조사방향><<무형유산>> 창간호, 국립무형유산원, 2016. 12.
<체육사의 회고와 전망><<체육과학연구>>, 스포츠개발원, 2016. 12.
2017
<신화속 호랑이는 어디로 갔을까?><<웹진 담>> 36호, 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2017. 2.
<씨름으로 본 한국문화><<문화재사랑>> , 한국문화재재단, 2017. 4월호
<한국 씨름의 특성과 유산적 가치><<씨름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념 학술대회발표집>>, 2017. 5. 30.
<당항성의 역사성과 문화콘텐츠 -고대 항구도시의 복원을 중심으로-><<문화콘텐츠로 만나는 당성, 그리고 당은포학술대회>>, 수원대 산학협력단, 2017. 7. 3.
<메가스포츠 평창올림픽과 호랑이의 재귀환 -한국 문화의 성찰과 박물관의 과제-><<2017년 영월국제박물관포럼발표집>>, 2017.9.14-15.
<조선의 기마무예, 사모구><<월간문화재>> 2017년 10월호, 한국문화재재단.
<기억의 대상으로서의 단종과 열린 미래-단종국장을 중심으로-><<단종국장 세계화 심포지엄발표집>>, 2017.10. 18.
<전통지식의 보전및 활용의 쟁점과 이슈><<문화유산 관리의 쟁정과 이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과, 일반대학원 문화유산융합학과 문화재관리학전공, 2017. 11. 25.
<군사유산의 등재경향과 북한산성의 세계유산 가치><<2017 북한산성 학술심포지엄>>, 고양시, 경기도, 2017. 11.28.
<옛길을 통해 본 기억과 망각의 저편 - 미래 경기를 위한 서곡><<‘경기옛길 활성화’ 학술토론회>>, 2017. 11. 29.
<세계유산과 전북가야의 미래전략><<전북가야를 선언하다 국제학술심포지움>> 전라북도, 남원시, 장수군, 2017.12. 8.
<순조대 무동의 역할과 예술사적 의미><<한국무용연구학회>>, 2017. 12.
<기억의 대상으로서의 단종과 열린 미래><<인문콘텐츠학회>>47집, 2017. 12.
<수원화성의 인문학적 의의와 미래지향적 함의><<문화와 융합>>제39권6호(통권60집),2017.12
2018
<역사 속의 동계스포츠, 한국의 썰매><<문화재사랑>>, 2018. 2. 한국문화재재단.
<무예제보의 특성과 무예사적 의미><<제19기 수원화성박물관대학강의자료>>, 2018. 4,
<인류무형문화유산 씨름 남북한 등재 검토와 전망><<2018년 춘계무형유산학회학술발표집>>, 2018.5.12.
<해수욕과 근대 풍경><<2018년 전국해양학자대회발표문>>, 2018. 7.6.
<죽막동 해양제사유적의 세계유산 기치와 방향 -오키노시마 유산과 관련하여-><< 죽막동유적 역사적 의미와 활용방안>>, 2018. 9. 13.
<한국 씨름의 정체성><<씨름국제학술대회>>, 2018. 한국문화재재단.
<효명세자의 삶과 예술><<한국무용연구>>36권4호, 2018. 12.
<한국 씨름의 정체성과 유산 가치><<비교민속연구>>67집, 2018. 12.
2019
<씨름 남북 공동등재의 성과와 의미><<유네스코뉴스>>, 2019. 1, vol.751
<모재 김안국의 생애와 사상 -도통론에 가려진 16세기 유학의 거벽-><<설봉서원학술대회발표집>>, 2019. 2. 18.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씨름’의 남북 공동등재와 과제><<북한의 무형유산과 남북 교류협력방안>>, 국립무형유산원, 2019. 6. 14.
<물질의 고고학 -제주 해녀 물질의 기원을 찾아서><<제10회 전국해양학자대회발표집>>, 2019. 7. 5.
<조선시대 조포사와 진관사 - 두부의 산실과 공(公)으로의 전환><<두부의 역사문화와 진관사 두부>>,제2회 진관사 사찰음식 세미나, 2019.7. 12.
<세계의 기억과 삼국유사 - 동아시아 고대 문화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삼국유사 세계기록유산의 .가치 학술대회>>, 국학진흥원, 2019. 8.30-31.
<인류무형유산 씨름의 남북 공동등재 의미와 과제 ><<비교민속학회>> 69집, 2019. 9.
<물질의 고고학 -제주 해녀 물질의 기원을 찾아서> <<무용유산 아카이브와 자원화 방안>> 제주학연구센테 정책학술대회, 2019. 11. 15.
<한국 씨름의 지역적 특성과 강릉단오제><<제7회 강릉단오제 발전을 위한 축제포럼>> 강릉단오제 민속놀이 활성화방안 가조강연집, 2019. 11. 25.
<조선시대 조포사와 진관사 -조포사의 변천과 진관사 두부><<비교민속학회>> 70집, 2019. 12.
2020
<북한산성의 세계유산 가치와 등재전략-한양도성과 연융대성과의 연계를 중심으로-><<북악사론>>11, 2020. 1
<남북 문화유산 정책포럼의 성과과 과제 -DMZ 세계유산 등재논의를 중심으로><<DMZ 세계유산 정책포럼의 성과와 남북교류 워킹그룹 추진방향>>, 2020 2차 이코모스포럼, 2020. 5. 28.
<동해 삼화사 국행수륙재의 인문학적 탐색 -의례적 전환을 중심으로-><<동해원삼화지 정비 및 활용방안 학술심포지움>>, 동해시, 강원문화재연구소. 2020. 6. 24.
<DMZ 세계유산 등재논의 성과와 과제 -남북문화유산 정책포럼을 중심으로><<국제문화예술>>제1권 제1호, 2020. 6.
<유산의 매체성과 ‘doing heritage><<세계유산의 새로운 해석과 전망>>,이코모스한국위원회, 2020. 10.
<순창 성황제의 현대적 의미와 재현방향><<전북문화살롱>>, 2020. 10.
<순창 단오성황제의 유산가치와 복원방향><<제1회 순창단오성황제 복원학술세미나>>, 2020. 10.
<조선의 강무와 대사례><<왕실문화강좌>>, 2020. 10.21. 흥복전.
<임진왜란중 독산성전투의 관방사적 의미><<2020 오산 독산성 학술심포지엄>>, 2020. 10 23.
<해녀물질의 고고학-한국 잠수어업의 기원과 형성 탐색-><<지방사와 지방문화>>23권2호, 2020.11.
<삼화사 국행수륙재의 설행과 정치적 의미><<한국민속학>.72, 2020. 11.
<의암별제의 안과 밖-1910년이전의 논개제를 중심으로-><<한국음악사학보>>65, 2020. 12.
<순창 단오제의 현대적 의미와 복원방향><<백산학보>>118, 2020. 12
<씨름 남북공동등재의 현황분석 및 시사점>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2020. 12).
<제488호 청년단 야구대회 우승기><<국가등록문화재 대국민보고서>>,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2020. 12.
<제492호 제14회런던올림픽 참가패넌트><<국가등록문화재 대국민보고서>>,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2020. 12,
<제499호 전국체육대회 우승기, 2위기,3위기><<국가등록문화재 대국민보고서>>,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2020. 12,
2021
<교방문화와 문화콘텐츠 - 논개제의 역사적 정체성과 축제적 전망><<진주교방문화 문화콘텐츠 심포지엄>> 2021. 6.18.
<그림으로 보는 용양봉저정과 노량행궁>, 동작문화유산해설사 강의안, 2021. 10. 20.
<순창 성황제의 제의구조와 절차><<제1회 순창성황대신사적현판의 재조명학술대회>>, 2021. 11. 5.
<옛 지도에 나타난 도시의 이미지:송파의 나이테읽기><<영상문화>>39, 2021. 12
2022
<Traditional Wrestling Bridges the Two Koreas><<KOREAN HERITAGE>>, SPRING 2022 VOL56.
<세계유산 잠정목록 신규발굴 성과와 과제><<ICOMOS Korea Newsletter 14>>, 2022. 06.30.
<진주 논개제의 변천과 축제적 전망-1910년 이후를 중심으로><<북악사론>>16집, 2022. 7. 16.
<조선 난장의 개념과 역사적 실체><<동양고전연구>>89, 2022. 12.
<구파발 파발제의 현황과 과제-축제의 정체성 탐색-><<한국전통공연예술학>>8집, 2022. 12.
2023
<살아있는 무형유산이자 오래된 미래, 씨름><<문화재사랑>>, 2023. 4. 23.
<임진왜란 직후 해과의 설행과 정치사회적 의미><<완도 고금도 삼도수군통제영과 통제사 이순신학술대회>>,
2023.7.14. 완도 고금면사무소.
<화성 당성의 역사적 가치와 콘텐츠 전략><<국제문화예술>>4권 3호, 2023. 12. 31.
<17세기 초 海科의 설행과 정치·사회적 의미><<도서문화>> 62집, 2023. 12. 31.
<한양성곽의 세계유산 가치와 등재방안><<동양고전연구>> 93집, 2023. 12. 31.
<보은 유학의 학풍과 처사형 사림을 자처했던 성운 학맥><충북유학의 학맥과 학풍>>,충북역사문화총서 2, 12.31
2024
<디지털시대 인문학과 metahistory-체육사학사><<2024년 한국체육사학회 춘계학술대회발묘문>>2024, 4. 27.
<메타역사로서 체육사학사-한국 체육사학의 성찰을 위한 과제><<한국체육사학회지>>29권 2호, 2024. 6.
<제주의 씨름과 그 문화사적 의미><<한국체육사학회지>>29권 3호, 2024. 9.
<역사도시 송파의 정체성 찾기><<제24기 송파상공회의소 최고위과정 강의록>>, 2024. 10. 17.
<조선 전기 수박희의 존재와 의미><<한국체육사학회지>>29권 4호, 2024. 12
<모재 김안국의 생애와 사상><<동양고전연구>>97집, 2024. 12
국가의례 복원 및 재현 활동
- 1998년 ‘조선시대 무과전시의 재현행사 (아산시, 고증책임)
- 2002년~현재 '조선시대 궁성문 개폐 및 수문장 교대의식' (경복궁, 고증책임)
- 2003년 '조선조 궁중조회 상참의' (경복궁 사정전, 고증책임)
- 2003년 '조선조 영조대 궁중연회 어연의' (창경궁, 고증책임)
- 2004년 '조선조 숙종 인현왕후 가례의식' (경복궁, 고증책임)
- 2005년 '1892년 고종조 진찬의' (경복궁 고증책임)
- 2005년 '조선시대 과거제도 재현행사' (경희궁, 고증책임)
- 2006년 ‘조선시대 대사례 재현행사’ (경복궁, 고증책임)
- 2007년 ‘전라좌수영 이충무공출정 둑제 재현행사’ (여수시, 고증책임)
- 2008년 창덕궁 연경당 진작의레 (의례고증책임)
- 2012년 '다산 정약용 250주년 기념 회혼례 재현행사' (실학박물관, 고증자문)
- 2013년 '창경궁 자경전 야진찬 재현행사(고증, 연출, 해설)
- 2014년 KBS사극 '정도전' 태조즉위식, 세자책봉의례 (자문)
- 2016년 정조대왕 화성행차 재현행사 (자문)
궁중유물 복원 전시 및 활용
- 2003년 조선시대 흥인지문 파수체제 고증연구 (종로문화원, 연구책임)
- 2004년 조선시대 신문고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종로구청, 연구책임)
- 2005년 '수원 화성행궁 및 화령전 궁중유물 복원 전시' (수원시 화성사업소, 연구책임)
- 2006년 ‘수원 화성 동장대 유물 복원 전시’ (수원시 화성사업소, 연구책임)
- 2008년 '조선시대 왕비가마 복원' (경기도 화성박물관, 고증위원)
영화 및 디지털 콘텐츠 개발 사례
- 2000년 '대한민국 체육사 데이터 베이스 구축 (체육과학연구원, 공동연구원)
- 2003년 '한국 무예의 원형과 무과시험 콘텐츠 개발'(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연구책임)
- 2004년 '맨손무예 택견의 디지털콘텐츠 개발'(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고증자문)
- 2005년 '진주대첩 3D 에니메이션 영화제작'(국립진주박물관, 고증위원)
- 2005년 e-learning 콘텐츠 개발(한국의 무예) (한국방송통신대학, 연구책임)
- 2005년 '한국궁술의 원형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개발'(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연구책임)
- 2006년 ‘정변 디지털콘텐츠 개발’(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고증위원)
- 2007년 '화성이야기' 게임콘텐츠 개발(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고증위원)
- 2007년 영화 "신기전" (주연 안성기, 제작사 KNJ엔터테인먼트) 고증
- 2007년 ‘고창전투 4D 입체영화 에니메이션 영화제작’ (안동시, 시나리오 및 고증)
- 2008년 사행길 역사기행 디지털콘텐츠 개발, (국학진흥원, 자문위원)
- 2009년 조선시대 상장례 디지털콘텐츠 개발 (문화재청, 자문위원)
- 2010년 '표석이 말한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자문위원)
- 2014년 무과 (EBS 지식채널@, 감수위원)
- 2017년 영화 '물괴' (자문)
- 2021년 영화 '탄생' (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