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전문학술지 (SCI급)
Kim, HT., et al. (2014). Swimming exercise stimulates neurogenesis in the subventricular zone via increase in synapsin I and nerve growth factor levels. Biol. Sport, 31: 309-314.
Kim, HT., et al. (2011). Treadmill exercise suppresses muscle cell apoptosis by increasing nerve growth factor levels and stimulating p-phosphatidylinositol 3-kinase activation in the soleus of diabetic rats. Journal of Physiology and Biochemistry, 67(2): 235-241.
Kim, HT., et al. (2011). Treadmill exercise represses neuronal cell death in an aged transgenic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Neuroscience Research, 69(2): 161-173.
Kim, HT., et al. (2009). Forced, moderate-intensity treadmill exercise suppresses apoptosis by increasing the level of NGF and stimulating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signaling in the hippocampus of induced aging rats. Neurochemistry International, 55(4): 208-213
Kim, HT., et al. (2008). The combination of alpha-lipoic acid supplementation and aerobic exercise inhibits lipid peroxidation in rat skeletal muscles. Nutrition Research, 28(6): 399-405.
Kim, HT., et al. (2006). Effect of exercise and alpha-lipoic acid supplementation on oxidative stress in rats. Biology of Sport, 23(2), 143-155.
Kim, HT. (2005). Effect of the joint administration of selenium and vitamin E in combination with regular aerobic exercise on markers of lipid peroxidation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diabetic rats.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Nutrition & Exercise Metabolism, 15(3), 267-279.
■ 국외학술지
Kim, HT., et al. (2005). シトレプゾトシン誘発Ⅰ型糖尿病ラットの急性運動前後による肝臓の過酸化脂質および血中glycated LDL,血中脂質成分の変化. 九州体育・スポーツ学研究, 20(1), 1-7.
Kim, HT., et al (2007) . The effects of swimming and muscular resistance training on the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es in obese women. IJASPESD, 5(1), 70-77.
■ 국내전문학술지
김현태 등 (2019). 12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이 노화 흰쥐 대동맥의 내, 중막 두께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NGF, VEGF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4): 739-749
김현태 등 (2019). 조정선수의 부위별 웨이트 트레이닝이 로윙 에르고미터 2,000m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4(4): 371-379
김현태 등 (2019). 운동이 사회적으로 고립된 쥐의 해마에서 Glutamate-NMDA 수용체 및 세포 내 PSD-95/nNOS 복합체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3): 473-482
김현태 등 (2018). 운동이 사회적으로 고립된 쥐의 해마에서 Bax/Bcl-2 및 Caspase-3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6(3): 337-344
김현태 등 (2018). 조정선수의 근 부위별 근력증가에 따른 무산소성 능력과 스트록 싸이클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6(2): 797-804.
김현태 등 (2017). 2017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득, 감점 분석: 경기운영형태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7(1): 811-824.
김현태 등 (2017). 규칙적인 달리기 운동이 노화 흰쥐 해마의 RAS/ERK 신호체계 및 pCREB 단백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4): 569-576.
김현태 등 (2017). 트레드밀 운동이 노화 흰쥐 해마의 GFAP 및 GFG, FGFR1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프츠학회지, 15(3): 471-478.
김현태 등 (2017). 소프트볼 선수의 운동경력과 포지션에 따른 운동상해에 관한 연구. 스포츠사이언스, 35(1): 9-17.
김현태 (2017). 트레드밀 운동이 노화 쥐의 봉선핵에서 serotonin 및 TPH 양성세포 수의 변화 및 우울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2): 563-570.
김현태 등 (2016). 장기간의 운동이 노화 쥐의 선조체에서 BDNF, TrkB, PI3-K 및 c-F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4(4): 583-590.
김현태 등 (2016). 댄스스포츠를 통한 여가활동이 자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4(4):, 437-445.
김현태 등 (2015). 코어 트레이닝 시 대학 조정선수들의 등속성 근기능 및 경기력 수준 변화. 한국스포츠학회지, 13(4): 225-233.
김현태 등 (2015). 하지근력운동 및 압박스타킹 착용이 사무직 여성의 하지부종 및 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4): 601-608.
김현태 (2015). 트레드밀 운동이 성인 rats 선조체의 BDNF 및 Synapsin I, ChAT 단백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사이언스, 33(1): 19-26.
김현태 등 (2015). 규칙적인 트레드밀 운동이 사회적 고립에 따른 성인 흰쥐 해마의 BDNF, NGF 수준 및 봉선핵의 serotonin-, TPH-positive cells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2): 391-402.
Hyun-Tae Kim et al. (2015). Treadmill exercise after social isolation increases the levels of NGF, BDNF, and synapsin I to induce survival of neurons in the hippocampus, and improves depression-like behavior. J. Exer. Nutr. Biochem., 19(1): 11-18.
김현태 등 (2015). 사회적으로 고립된 쥐의 대동맥에서 트레드밀 운동이 IL-1
β 및 NGF, VEGF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1): 1065-1076.
김현태 등 (2014). 태권도 품새와 겨루기 선수들의 척추형태 및 등속성 근력차이 연구. 스포츠사이언스, 32(1): 77-84.
김현태 등 (2014). 뇌졸증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과 가상현실 훈련프로그램이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2(2): 151-157.
김현태 등 (2013). 트레드밀 운동은 STZ 유도 당뇨 흰쥐 해마에서 MAPK/Erk1,2를 활성화시켜 NGF의 signaling을 촉진함으로서 인지기능을 개선시킨다. 한국스포츠학회, 11(3): 323-335.
김현태 등 (2013). 태권도 전자호구발차기 강도의 차이검증. 스포츠사이언스, 31(1): 35-41.
김현태 등 (2013). 운동이 성인 rats 해마 치상회의 nerve growth factor 수준과 neurogenesis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1(1): 287-299.
김현태 등 (2012). 규칙적인 운동이 성인 백서 해마 치상회에서 신경세포의 Dendritic Lengths 및 Synapsin I 수준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3(4): 776-784.
김현태 등 (2012). 12주간의 탄력밴드 운동이 고령여성의 신체조성 및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4): 269-275.
김현태 등 (2012). 사회적으로 고립된 쥐의 해마에서 NGF와 Synapsin I, ChAT의 단백질 수준에 미치는 사전운동효과. 생명과학회지, 22(9): 1180-1186.
김현태 등 (2012). 짐볼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이 어린이의 신체조성과 체력 및 IGF-1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9: 749-759.
김현태 (2012). 운동형태에 따른 성인 rats subventricular zone의 BrdU-labeled cells number 및 striatum의 NGF 수준 변화. 한국스포츠학회지, 10(3): 543-552.
김현태 등 (2012). 필라테스 매트운동이 근위축 비만 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 염증반응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1(4): 407-417.
김현태 등 (2012). 복합운동이 초고령 여성의 신체조성 및 일상생활 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0(2): 437-446.
김현태 등 (2011). 트레드밀 운동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해마에서 항산화효소 수준 증가 및 Apoptosis 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0(6): 429-438.
김현태 등 (2011). Formetric Ⅲ를 이용한 기계체조 선수들의 척추변형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학회지, 9: 335-341.
김현태 등 (2010). 규칙적인 수영운동과 taurine 섭취가 Seizure 유발 마우스의 해마에서 항산화 효소 및 caspase-3, 8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2): 1465-1477.
김현태 등 (2009). 트레드밀 운동이 당뇨 쥐 soleus에서 Mn-SOD, Cu,Zn-SOD, caspase-3 단백질 수준 및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6): 635-644.
김현태 등 (2009). 정신지체인의 식습관 및 체력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18(3): 1349-1359.
김현태 등 (2009). 다양한 레저스포츠 활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신체조성 및 운동기능 능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 701-707.
김현태 등 (2008). 운동강도에 따른 급성 트레드밀 운동시 뇌의 NGF 발현과 caspase-3 활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1539-1549.
김현태 등 (2008). 노인들의 12주간의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심혈관계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1593-1603.
김현태 등 (2007). 노화과정 백서의 심장에서 산화스트레스 및 caspase-3 활성도에 미치는 운동과 ALA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16(3), 547-557.
김현태 등 (2007). 규칙적인 운동과 Carnosine 투여가 노화 유도시 대동맥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효과. 운동영양학회지, 11(1), 15-21.
김현태 등 (2006). 장기간의 생활습관화된 운동이 노인의 건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8, 465-474.
김현태 등 (2006). 운동유발성 Apoptosis에 미치는 alpha-lipoic acid의 방어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5(2), 481-489.
김현태 등 (2005). 댄스스포츠 활동이 여성노인의 혈중 신경전달물질과 전두, 측두엽의 혈류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9(5), 33-44.
김현태 (2005). 규칙적인 운동시 당뇨병 백서 신장에서 COX-2 mRNA 및 Protein 발현. 한국체육학회지, 44(5), 381-390.
김현태 등 (2005). 운동형태에 따른 고도비만 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장 C-reactive protein의 변화. 운동영양학회지, 9(2), 135-141.
김현태 등 (2005).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과 카노신, 리포산의 복합투여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14(2), 835-843.
김현태 등 (2005). 저항성 운동을 병행한 HMB 섭취가 체조성, 젖산탈수소효소 및 등속성 운동시 최대근력 및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44(2), 317-324.
김현태 등 (2004). 장기간 L-Carnosine 투여와 운동이 지질과산화 및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운동영양학회지, 8(1), 79-85.
김현태 등 (2004). 단기간 비타민 E 섭취가 최대하운동후 지질과산화물 및 SOD, CAT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2), 443-451.
김현태 등 (2004). 운동시 항산화계에 미치는 L-Carnosine의 단기간 섭취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3(1), 613-619.
김현태 (2003). 유도선수들의 동계훈련 프로그램이 혈중 크레아틴키나제, 젖산탈수소효소 및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5), 657-666.
김현태 등 (2003). 흰쥐의 지구성 운동시 OKG 투여가 2-oxoglutarate, BCAA 및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운동영양학회지, 7(1), 35-40.
김현태 등 (2003). 지구성 운동시 당뇨병 흰쥐의 SOD, GSH-Px 활성도 및 산화 LDL의 변화. 운동영양학회지, 7(1), 23-29.
김현태 등 (2002). 항산화제 투여를 병행한 트레이닝 후의 격렬한 운동이 흰쥐의 MDA, LDH 동위효소에 미치는 영향. 운동영양학회지, 6(2), 115-119.
김현태 등 (2002). 지구성 운동수행시 L-ornithine 2-oxoglutarate 투여가 흰쥐의 혈장 암모니아 및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1(3), 431-437.
■ 저서
김현태 등 (2010). 체육지도자 훈련지도서 / 알파인 스키. 금풍문화사
김현태 등 (2008). 체지방의 이해. 광림 북하우스
김현태 등 (2005). Fitness & Diet. 보경문화사
김현태 등 (2003). 스포츠영양학. 도서출판 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