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김지연 (2024). 국가특수교육지표체계 정책성과모형의 개발과 내적 타당화. 특수교육논집, 29(2). 83-111.
김지연, 옥민욱, 박경옥 (2024). 예비특수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련 경험 및 인식. 지적장애연구, 26(2). 65-20. DOI: 10.35361/KJID.26.2.4
옥민욱, 박경옥, 김지연 (2024). 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인공지능교육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1). 97-120.
DOI: 10.24005/seci.2024.17.1.97
임이삭, 김지연 (2024). 특수교사 자격제도 상 명칭의 적절성에 대한 문헌 및 법률 검토. 특수교육논총, 40(1). 261-283. DOI: 10.31863/JSE.2024.02.40.1.261
김지연 (2023). 국가특수교육지표체계 체제모형 개발 및 내적 타당화. 발달장애연구, 27(3). 1-20. DOI : 10.34262/kadd.2023.27.3.1
박경옥, 옥민욱, 김지연 (2023). 장애학생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실행경험 및 인식 -인공지능 교육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지적장애연구, 25(4). 57-86. DOI: 10.35361/KJID.25.4.3
송만호, 박경옥, 김지연 (2023).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습경로 발달 특성 탐색: 인지, 의사소통 및 타인과의 상호작용, 환경 및 사물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58(2). 63-90. DOI:10.15861/kjse.2023.58.2.63
옥민욱, 박경옥, 김지연 (2023).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57(4). 151-179. DOI:10.15861/kjse.2023.57.4.151
박경옥, 옥민욱, 김지연 (2023). 원격수업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활용 실태와 지원 요구. 지적장애연구, 24(4). 71-94. DOI:10.35361/KJID.24.4.3
김지연 (2022). 특수교육대상자 순회교육 발전 방안에 대한 소고 -순회교육 개념 재점검 및 2021 특수교육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57(1). 1-22. DOI: 22.10.15861/kjse.2022.57.1.1
강종구, 김지연 (2022).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학생 순회교육의 운영 현황 및 발전 방향. 특수교육논총, 38(4), 143-165. DOI: 10.31863/JSE.2022.11.38.4.143
박경옥, 옥민욱, 김지연 (2022). 특수교사의 보조공학 활용현황 및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분석. 특수교육연구, 29(1). 304-335. DOI: 10.34249/jse.2022.29.1.304
임이삭, 김지연 (2022). 체육 분야 특화 특수학교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과 요구. 발달장애연구, 26(4). 461-484. DOI: 10.34262/kadd.2022.26.4.484
옥민욱, 박경옥, 승예린, 김지연 (2022). 코로나19 상황 속 원격수업에서의 보조공학 활용 관련 특수교사들의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5(1), 145-166. DOI: 10.20971/kcpmd.2022.65.1.145
김지연, 박경옥, 옥민욱 (2021). 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용 보조공학 활용실태와 지원 요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60(4). 149-172. http://dx.doi.org/10.23944/Jsers.2021.12.60.4.7
김지연, 박경옥 (2021). 유아특수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교사 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3), 67-84. DOI: 10.20971/kcpmd.2021.64.3.67
박경옥, 김지연 (2021). 유⋅초⋅중등 특수교사의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교수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잠재평균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2(1), 79-107. DOI: 10.19049/JSPED.2021.22.1.04
박경옥, 김지연 (2021). COVID-19를 경험한 장애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요구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60(2). 229-254. DOI: 10.23944/Jsers.2021.06.60.2.10
김민창, 김지연 (2020). 특수교육 내 체육영역 관련 법과 정책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55(3), 95-115. DOI: 10.15861/kjse.2020.55.3.95
Kim, W., Kim, J., & Sylvia Linan-Thompson (2020).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identification of and intervention for students at risk for disabilities in South Korea. Exceptionality. published online: 07 Jun 2020. DOI: 10.1080/09362835.2020.1772066
강종구, 김지연 (2020). 특수교육학 및 장애(교육)학 관점에서 바라본 국내 특수교육 연구 현실.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1(4), 95-123.
김영표, 김지연 (2019). 발달장애학생의 반복·상동행동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국내 학술지 연구를 대상으로. 지적장애연구, 21(4). 87-106.
Kim. J. (2019).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 of family well-being in America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with a disability in the U.S. National Survey of Children’s Health 2011-2012. Asia-Pacific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6(2), 50-70.
강종구,김지연 (2018). 사회·경제적 관점을 통한 학습장애의 출현율 및 정의에 대한 논의: 국내·외 비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30(6). 2087-2101.
이재섭, 최민석, 감소영, 김소영, 김지연 (2018). 전국장애학생직업기능경진대회 발달장애영역에 대한 전문가들의 경험과 인식: 근거이론연구, 특수교육논총, 34(2), 187-209.
김지연 (2017). 특수교육대상자 특수학교 배치 현황의 국제 및 국내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1), 111-136.
김지연 (2017). 국내 학습장애아 급감 추세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소고. 특수교육학연구, 51(4), 91-113. DOI:http://dx.doi.org/10.15861/kjse.2017.51.4.91
김지연, 김우리 (2017). 장애위험아동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 근거이론을 적용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학습장애연구, 14(1), 165-193.
UCI : G704-SER000009008.2017.14.1.005
김우리, 김지연 (2017). 학령기 학생의 읽기 특성 탐색을 위한 안구운동 연구 분석: 특수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 학습장애연구, 14(3). 101-125.
박경옥, 김지연, 서선진 (2017).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의 교수설계 비교 분석, 지적장애연구 19(4). 25-48.
박경옥, 김지연 (2017). 특수학교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 지적장애연구, 19(2), 121-145.
박경옥, 김지연 (2017).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 실태와 평가 적용 실태. 특수아동교육연구, 19(2), 197-222.
Wang, M., Kim, J., Lam, Y., Detar-Smith, W., Singer, G. H. S (2016).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autism, In Wang, M., & Singer, G. H. S. (Eds.),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idence-based and Emerging Practi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Singer, G. H. S., Kim, J., Lam, Y., Wang, M., & Oliver, K. (2016). Psychoeducational group programs as evidence-based Practices. In Wang, M., & Singer, G. H. S. (Eds.),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idence-based and Emerging Practi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Wang, M., Lam, Y., Kim, J., Singer, G. H. S, Dodds, R. (2016). Behavioral parent training as EBP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Wang, M., & Singer, G. H. S. (Eds.),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idence-based and Emerging Practi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Lam, Y., Wang, M., Lam, Y., Singer, G. H. S, & Kim, J. (2016). Advocacy and self-help programs as evidence-based practice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Wang, M., & Singer, G. H. S. (Eds.),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idence-based and Emerging Practi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정민호, 정해동, 김유리, 권정민, 김기룡, 황윤의, 최기상, 김지연, 박희선 (2016).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18-’22) 계획 기초 연구.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김우리, 김지연 (2016). 장애위험아동, 누구인가?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51(3), 1-32.
김지연, 도경만, 곽승철 (2016). 특수교사의 교권 이해 및 교권 보장 실태에 대한 인식: MIMIC모형 적용을 통한 교사 변인별 차이 분석. 특수교육연구, 23(2) 123-147.
김지연, 황정애 (2008). 새내기 특수교사를 위한 가이드. 신규특수교사안내서, 3-12,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김지연 (2007). 교실속의 테크놀로지: 초등학교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Technolog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10, 16-19.
김지연 (2007). 모든 아이들의 교육권이 존중받는 세상을 꿈꾸며, 선생님의 땀방울, 90-99.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