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김지연 (2024). 국가특수교육지표체계 정책성과모형의 개발과 내적 타당화. 특수교육논집, 29(2). 83-111. 

김지연, 옥민욱, 박경옥 (2024). 예비특수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련 경험 및 인식. 지적장애연구, 26(2). 65-20. DOI: 10.35361/KJID.26.2.4

옥민욱, 박경옥, 김지연 (2024). 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인공지능교육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1). 97-120. 

            DOI: 10.24005/seci.2024.17.1.97

임이삭, 김지연 (2024). 특수교사 자격제도 상 명칭의 적절성에 대한 문헌 및 법률 검토특수교육논총, 40(1). 261-283. DOI: 10.31863/JSE.2024.02.40.1.261

김지연 (2023). 국가특수교육지표체계 체제모형 개발 및 내적 타당화발달장애연구, 27(3). 1-20. DOI : 10.34262/kadd.2023.27.3.1

박경옥, 옥민욱, 김지연 (2023). 장애학생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실행경험 및 인식 -인공지능 교육 선도학교를 중심으로-지적장애연구, 25(4). 57-86. DOI: 10.35361/KJID.25.4.3

송만호, 박경옥, 김지연 (2023).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습경로 발달 특성 탐색: 인지, 의사소통 및 타인과의 상호작용, 환경 및 사물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58(2). 63-90. DOI:10.15861/kjse.2023.58.2.63

옥민욱, 박경옥, 김지연 (2023).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특수교육학연구, 57(4). 151-179. DOI:10.15861/kjse.2023.57.4.151

박경옥, 옥민욱, 김지연 (2023). 원격수업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활용 실태와 지원 요구. 지적장애연구, 24(4). 71-94. DOI:10.35361/KJID.24.4.3

김지연 (2022). 특수교육대상자 순회교육 발전 방안에 대한 소고 -순회교육 개념 재점검 및 2021 특수교육통계 분석을 중심으로특수교육학연구, 57(1). 1-22. DOI: 22.10.15861/kjse.2022.57.1.1

강종구, 김지연 (2022).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학생 순회교육의 운영 현황 및 발전 방향. 특수교육논총, 38(4), 143-165. DOI: 10.31863/JSE.2022.11.38.4.143

박경옥, 옥민욱, 김지연 (2022). 특수교사의 보조공학 활용현황 및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분석. 특수교육연구, 29(1). 304-335. DOI: 10.34249/jse.2022.29.1.304

임이삭, 김지연 (2022). 체육 분야 특화 특수학교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과 요구. 발달장애연구, 26(4). 461-484. DOI: 10.34262/kadd.2022.26.4.484

옥민욱, 박경옥, 승예린, 김지연 (2022). 코로나19 상황 속 원격수업에서의 보조공학 활용 관련 특수교사들의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5(1), 145-166. DOI: 10.20971/kcpmd.2022.65.1.145

김지연,  박경옥, 옥민욱 (2021). 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용 보조공학 활용실태와 지원 요구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60(4). 149-172.  http://dx.doi.org/10.23944/Jsers.2021.12.60.4.7

김지연, 박경옥 (2021). 유아특수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교사 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3), 67-84. DOI: 10.20971/kcpmd.2021.64.3.67

박경옥, 김지연 (2021). 유⋅중등 특수교사의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교수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잠재평균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2(1), 79-107. DOI: 10.19049/JSPED.2021.22.1.04

박경옥, 김지연 (2021). COVID-19를 경험한 장애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요구분석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60(2). 229-254. DOI: 10.23944/Jsers.2021.06.60.2.10

김민창, 김지연 (2020). 특수교육 내 체육영역 관련 법과 정책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55(3), 95-115. DOI: 10.15861/kjse.2020.55.3.95

Kim, W., Kim, J., & Sylvia Linan-Thompson (2020).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identification of and intervention for students at risk for disabilities in South Korea. Exceptionality. published online: 07 Jun 2020.  DOI: 10.1080/09362835.2020.1772066 

강종구, 김지연 (2020). 특수교육학 및 장애(교육)학 관점에서 바라본 국내 특수교육 연구 현실.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1(4), 95-123. 

김영표, 김지연 (2019). 발달장애학생의 반복·상동행동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국내 학술지 연구를 대상으로. 지적장애연구, 21(4). 87-106. 

Kim. J. (2019).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 of family well-being in America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with a disability in the U.S. National Survey of Children’s Health 2011-2012. Asia-Pacific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6(2), 50-70. 

강종구,김지연 (2018). 사회·경제적 관점을 통한 학습장애의 출현율 및 정의에 대한 논의: 국내·외 비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30(6). 2087-2101. 

이재섭, 최민석, 감소영, 김소영, 김지연 (2018). 전국장애학생직업기능경진대회 발달장애영역에 대한 전문가들의 경험과 인식: 근거이론연구, 특수교육논총, 34(2), 187-209. 

김지연 (2017). 특수교육대상자 특수학교 배치 현황의 국제  국내 분석특수아동교육연구, 19(1), 111-136.

김지연 (2017). 국내 학습장애아 급감 추세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소고특수교육학연구, 51(4), 91-113. DOI:http://dx.doi.org/10.15861/kjse.2017.51.4.91

김지연김우리 (2017). 장애위험아동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근거이론을 적용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학습장애연구, 14(1), 165-193. 

            UCI : G704-SER000009008.2017.14.1.005  

김우리김지연 (2017). 학령기 학생의 읽기 특성 탐색을 위한 안구운동 연구 분석특수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학습장애연구, 14(3). 101-125.

박경옥김지연, 서선진 (2017).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의 교수설계 비교 분석지적장애연구 19(4). 25-48.

박경옥김지연 (2017). 특수학교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지적장애연구, 19(2), 121-145.

박경옥김지연 (2017).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 실태와 평가 적용 실태특수아동교육연구, 19(2), 197-222.

Wang, M., Kim, J., Lam, Y., Detar-Smith, W., Singer, G. H. S (2016).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autismIn Wang, M., & Singer, G. H. S. (Eds.),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idence-based and Emerging Practi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Singer, G. H. S., Kim, J., Lam, Y., Wang, M., & Oliver, K. (2016). Psychoeducational group programs as evidence-based Practices. In Wang, M., & Singer, G. H. S. (Eds.),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idence-based and Emerging Practi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Wang, M., Lam, Y., Kim, J., Singer, G. H. S, Dodds, R. (2016). Behavioral parent training as EBP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In Wang, M., & Singer, G. H. S. (Eds.),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idence-based and Emerging Practi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Lam, Y., Wang, M., Lam, Y., Singer, G. H. S, & Kim, J. (2016). Advocacy and self-help programs as evidence-based practice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In Wang, M., & Singer, G. H. S. (Eds.),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idence-based and Emerging Practi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정민호정해동김유리권정민김기룡황윤의최기상김지연박희선 (2016). 5 특수교육 발전 5개년(’18-’22) 계획 기초 연구아산국립특수교육원.

김우리김지연 (2016). 장애위험아동누구인가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51(3), 1-32.

김지연, 도경만곽승철 (2016). 특수교사의 교권 이해  교권 보장 실태에 대한 인식: MIMIC모형 적용을 통한 교사 변인별 차이 분석특수교육연구, 23(2) 123-147.

김지연, 황정애 (2008). 새내기 특수교사를 위한 가이드신규특수교사안내서3-12,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김지연 (2007). 교실속의 테크놀로지초등학교 특수학급을 중심으로Technolog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10, 16-19.

김지연 (2007).  모든 아이들의 교육권이 존중받는 세상을 꿈꾸며선생님의 땀방울90-99.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